Algoritm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 10866번: 덱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6 10866번: 덱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배열을 이용해서 구현했다 N의 범위가 10000까지 이므로, deque 배열에 None 10000개를 채워서 초기화 한다. 함수를 사용해서 코드를 다시 짜면 보기에 예쁠것 같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mid = 5000 deque = [None for i in range(10000)] # N의 범위가 1~1.. 덱(Deque) https://blog.encrypted.gg/935 [실전 알고리즘] 0x07강 - 덱 안녕하세요, 오늘도 반갑습니다. 스택과 큐에 이어 이번에는 덱을 다루겠습니다. 목차가 0x02만 바뀌고 계속 똑같습니다. 한 번 눈으로 슥 훑고 넘어가겠습니다. 덱은 Restricted Structure의 끝판왕과 blog.encrypted.gg 정의 양쪽 끝에서 삽입,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구조 Double Ended Queue 성질 원소의 추가, 제거, 제일 앞/뒤 확인 --> O(1) 구현 배열 가장 앞에 있는 원소의 index : head 가장 뒤에 있는 원소의 index+1 : tail head와 tail의 초기값 != 0 (초기값 = 중간) 큐 https://blog.encrypted.gg/934?category=773649 [실전 알고리즘] 0x06강 - 큐 안녕하세요, 바킹독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큐를 배워보겠습니다. 저번 단원에서 배운 스택이랑 이번에 배울 큐랑은 좀 비슷한게 많습니다. 그래서 전 단원을 잘 이해하고 왔다면 이번 단원도 수 blog.encrypted.gg 정의 한쪽 끝으로 원소를 넣고, 반대쪽 끝에서 원소를 뺄 수 있는 자료구조 원소가 추가되는 곳 : rear 원소가 제거되는 곳 : front FIFO 성질 원소의 추가&제거&제일 앞/뒤 확인 --> O(1) 구현 원소를 담을 배열 + 가장 앞에 있는 원소의 인덱스(head) + 가장 뒤에 있는 원소의 인덱스(+1)(tail) push --> tail 증가 pop --> h.. 스택 https://blog.encrypted.gg/933 [실전 알고리즘] 0x05강 - 스택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택을 조져보려고 합니다. 이번 시간부터 세 단원 동안 스택, 큐, 덱을 다룰건데 셋 다 비슷비슷해서 하나만 익히고 나면 전반적으로 어렵지않고, 내용 자체도 연결리스트 blog.encrypted.gg 정의 한쪽 끝에서만 원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자료구조 성질 특정 위치(한쪽 끝)에서만 원소를 넣거나 뺄 수 있음 --> 원소 추가&제거 O(1) 구현 연결리스트 *배열 기능 push : 원소 추가 pop : 원소 제거 top: 원소 확인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