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6)
Training & Validation & Test set training set : 모델 만드는데 사용 validation set : training set으로 만들어진 모델의 성능 측정에 사용. 어떤 모델이 가장 데이터에 적합한지 찾아내기 위해서 다양한 파라미터와 모델을 사용해보게 되며, 그 중 validation set으로 가장 성능이 좋았던 모델을 선택(모델의 매개변수 선택)한다. testing set : validation set으로 사용할 모델이 결정 된 후, 마지막으로 딱 한번 해당 모델의 예상되는 성능을 측정(선택된 매개변수의 성능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미 validation set은 여러 모델에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고 그중 운 좋게 성능이 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측정되어 모델이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한..
'잘' 쉬어야 하는 이유 좋은 휴식의 조건 (물론 사람by사람 이지만) 편안(이완) : 휴식이 끝났을 때 마음이 편안하다 (반대의 휴식: 자극적인 게임, 공포영화…등) 통제 : 자기 결정권이 높을 때 사람은 마음이 편안해짐. 나에게 선택권이 있는 부담없는 휴식 취하기 몰입 : 뭔가 열심히 하는 것도 좋은 휴식이 됨. (반대의 휴식 : 정신을 반쯤 놓은채로 sns 보기 → 에너지 고갈) ***거리두기 : 일과의 거리두기 (쉬겠다고 마음먹었다면 일과 연결된 콘센트 완전히 뽑아버리기! 휴식은 팔팔한 무의식과의 바통터치니, 휴식을 취할때에는 끝내지 못한 일에 대해 미련 갖지 말기.) 요즘 무얼 하든 효율이 정말 안좋고, 해야할 일들을 '붙잡고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분명 중간 중간 공부나 해야할 일을 하지 않고 쉬는 시간들이 있었..
[백준] 1991번 : 트리 순회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991 1991번: 트리 순회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 ≤ N ≤ 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례대로 알파 www.acmicpc.net 아이디어 Node class와 BinaryTree class를 이용하여 각각의 node를 따로 저장해두고 root node로부터 엮어나가기 n = int(input()) i = 0 class Node: def __init__(self, item): self.item = item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BinaryTree(): def __..
[백준] 10808번 : 알파벳 개수 아이디어 : 미리 빈 리스트를 만들어두고, 알파벳의 '위치'를 표시하기 s = input() lst = [0]*26 for i in s: lst[ord(i)-97]+=1 for i in lst: print(i,end= ' ') ord() input : 하나의 문자 output :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정수 ex) ord('a') = 97
[백준] 4344번 : 평균은 넘겠지 (python)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 = int(input()) for _ in range(c): n = list(map(int,input().split())) total = 0 for i in range(1,n[0]+1): total += n[i] avg = total/n[0] over = 0 for i in range(1,n[0]+1): if n[i]>avg: over += 1 ratio = over/n[0]*100 print('%.3f%%'%ratio) sys.stdin.readline으로 입력을 받게되면 개행문자(\n)가 포함된 입력값을 받게된다. 그런데 여기서는 strip을 안써도 되네? 왜그럴까?
[백준] 11729번 : 하노이 탑 이동 순서(python) 아이디어 1 - 원판들이 있는 장대의 번호(start = 1), 원판들을 옮기고 싶은 장대의 번호(end = 3)을 알고 있음. - 그럼 남은 장대의 번호는 1+2+3 = 6이기때문에, 6-start-end 로 구할 수 있다! 아이디어2 사실 아직까지는 재귀 알고리즘이 한번에 생각나지 않고, 저렇게 작은 숫자를 대입해서 직접 그려봐야 반복되는 것이 보인다. import sys input= sys.stdin.readline def hanoi(n, start, end) : if n == 1 : print(start, end) return hanoi(n-1, start, 6-start-end) print(start, end) hanoi(n-1, 6-start-end, end) n=int(input().stri..
[백준]10870번: 피보나치 수5(python) N = int(input()) def pibo(n): if n == 0 : return 0 elif n == 1: return 1 return pibo(n-1)+pibo(n-2) print(pibo(N)) 코드 자체는 설명할 게 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그런데,, 문제는 처음에 jupyter notebook으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n = int(input())을 하는데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무슨.. 값을 입력받기도 전에 에러부터 띄우는건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1.2' 이런식으로 에러가 뜨면, 소수를 입..
로컬에 있는 파일 도커로 옮기기 https://velog.io/@janeljs/%EB%82%B4-PC%EC%97%90-%EC%9E%88%EB%8A%94-%ED%8C%8C%EC%9D%BC%EC%9D%84-Docker%EB%A1%9C-%EC%98%AE%EA%B8%B0%EB%8A%94-%EB%B0%A9%EB%B2%95